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2024년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KNCAP은 법적 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으로 자동차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는 정부 주도 프로그램으로, 제작 차량의 안전성 향상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2024년 자동차 안전도 평가 종합 결과
2024년 자동차안전도평가에서 1등급을 받은 차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아 EV3
- 볼보 S60
- 벤츠 E200
- 현대 싼타페 하이브리드
이들 차종은 충돌 안전성, 외부통행자 안전성, 사고예방 안전성 등 3개 분야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얻어 최고 등급인 1등급을 획득했습니다.
평가 차종 및 등급
- 1등급: 기아 EV3, 볼보 S60, 벤츠 E200, 현대 싼타페 하이브리드
- 2등급: 토요타 프리우스
- 3등급: 벤츠 GLB250,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
- 4등급: 테슬라 모델Y
- 5등급: 지프 랭글러
배터리 안전기능 평가 도입
특히 이번 평가에서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안전기능을 세계 최초로 도입해 전기차의 배터리 화재 방지를 위한 배터리 상태 감지와 이상 발생 시 경고 등의 기능을 평가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전기차의 배터리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전기차 제작사들이 배터리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배터리 안전기능 평가 결과:
- 기아 EV3,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 2등급
- 테슬라 모델Y: 4등급
2024년 자동차안전도평가 콘퍼런스
국토교통부는 12월 26일 오후 서울에서 2024년 자동차안전도평가 콘퍼런스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이 콘퍼런스에서는 자동차 안전도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과 연구개발 동향을 공유하고, 높은 등급을 획득한 자동차와 연구자들을 시상할 예정입니다.
앞으로 .....................
국토교통부 전형필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올해 세계 최초로 도입한 전기차 배터리관리시스템 안전기능 평가를 시작으로, 자동차 안전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평가 항목을 지속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자동차 제작사의 안전한 자동차 개발·제작을 유도하는 자동차안전도평가의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자동차안전도평가 #KNCAP #자동차안전성 #기아EV3 #볼보S60 #벤츠E200 #현대싼타페 #배터리관리시스템 #전기차배터리안전 #자동차안전기술 #국토교통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평가 #자동차안전기준
참고 1 | 자동차안전도평가 종합 평가결과 |
부 문 |
구 분 | 평 가 분 야 | 종합등급 | 발표 일시 |
||||
차종 | 차명 | 충돌안전성 [60점] |
외부통행자 안전성[20점] |
사고예방 안전성[20점] |
||||
전 기 차 (3) |
승용 | SUV | 기아 EV3 |
53.707(89.5%) ★★★★★ |
14.772(73.9%) ★★★★★ |
16.400(82.0%) ★★★★★ |
1등급 (84.9점) |
11.29 |
승용 | SUV | 테슬라 모델Y | 57.631(96.1%) ★★★★★ |
16.544(82.7%) ★★★★★ |
9.900(49.5%) ★★ |
4등급 (84.1점) |
12.26. | |
승용 | SUV |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 |
46.649(77.7%) ★★★ |
16.145(80.7%) ★★★★★ |
15.450(77.3%) ★★★★★ |
3등급 (78.2점) |
12.26 | |
하이브리드차 (3) |
승용 | 세단 | 볼보 S60 |
51.899(86.5%) ★★★★★ |
17.275(86.4%) ★★★★★ |
15.400(77.0%) ★★★★★ |
1등급 (84.6점) |
8.30 |
승용 | 해치백 | 토요타 프리우스 |
48.689(81.1%) ★★★★ |
17.508(87.5%) ★★★★★ |
13.500(67.5%) ★★★★ |
2등급 (79.7점) |
7.31 | |
승용 | SUV | 현대 싼타페 하이브리드 |
54.858(91.4%) ★★★★★ |
15.698(78.5%) ★★★★★ |
16.000(80.0%) ★★★★★ |
1등급 (86.6점) |
6.28 | |
내 연 기 관 차 (3) |
승용 | 세단 | 벤츠 E200 |
55.961(93.3%) ★★★★★ |
17.661(88.3%) ★★★★★ |
18.300(91.5%) ★★★★★ |
1등급 (91.9점) |
10.31. |
승용 | SUV | 벤츠 GLB250 |
47.382(79.0%) ★★★ |
15.406(77.0%) ★★★★★ |
14.800(74.0%) ★★★★★ |
3등급 (77.6점) |
12.26 | |
승용 | SUV | 지프 랭글러 |
41.555(69.3%) ★★ |
1.639(8.2%) ★ |
7.410(37.1%) ★ |
5등급 (50.6점) |
12.26 |
※ 종합등급은 평가분야별 가장 낮은 별등급에 따라 하향 조정
(ex : 사고예방안전성에서 별2개(★★)를 받은 경우 4등급으로 하향 조정)
참고 2 |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 평가체계 |
□ (목적) 법적 안전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의 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를 공개해 제작사의 자발적 투자를 유도하는 정부 주도 평가프로그램
□ (추진경위) ’99년 최초시행 이후 평가항목‧차종을 점차 확대하여 현재 3개 분야 20개 항목 평가시험 중
【평가항목 및 배점기준】
구 분 | 충돌안전성분야(9항목) | 외부통행자안전성분야(4항목) | 사고예방안전성분야(7항목) |
평가 항목 및 배점 |
ㅇ기본항목(총 60점) ①정면충돌안전성(13점) ②차대차상호충돌안전성(13점) ③측면충돌안전성(10점) ④기둥충돌안전성(10점) ⑤원측면충돌안전성(2점) ⑥어린이충돌안전성(8점) ⑦좌석안전성(4점) |
ㅇ기본항목(총 20점) ①통행자충격안전성(15점) ②비상자동제동장치[보행자](3점) ③비상자동제동장치[자전거](1점) ④비상자동제동장치[야간](1점) |
ㅇ기본항목(총 20점) ①비상자동제동장치[고속모드](5점) ②비상자동제동장치[시가지모드](4점) ③차로유지지원장치안전성(4점) ④긴급조향기능장치(2.5점) ⑤후측방접근충돌방지장치(2점) ⑥지능형최고속도제한장치(2점) ⑦사각지대감시장치(0.5점) |
ㅇ가점항목(총 1점) ⑧좌석안전띠경고장치(0.5점) ⑨첨단에어백장치(0.5점) |
분야별 별등급 산정기준 | ||||||||||||||||||||||||||
분야별 만점 대비 획득점수 비중(%) | ||||||||||||||||||||||||||
별 등급 | 충돌안전성 | 외부통행자안전성 | 사고예방안전성 | |||||||||||||||||||||||
★★★★★ | 85.1 ~ | 70.1 ~ | 70.1 ~ | |||||||||||||||||||||||
★★★★ | 79.1 ~ 85.0 | 60.1 ~ 70.0 | 60.1 ~ 70.1 | |||||||||||||||||||||||
★★★ | 73.1 ~ 79.0 | 50.1 ~ 60.0 | 50.1 ~ 60.0 | |||||||||||||||||||||||
★★ | 67.1 ~ 73.0 | 40.1 ~ 50.0 | 40.1 ~ 50.0 | |||||||||||||||||||||||
★ | ~ 67.0 | ~ 40.0 | ~ 40.0 |
종합등급 산정기준 | ||||||||||||||||
구분 | 종합등급 산정기준 | |||||||||||||||
1등급 | 평가분야별 별등급이 모두 별5개(★★★★★)인 경우 | |||||||||||||||
2등급 | 평가분야별 별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이 별4개(★★★★)인 경우 | |||||||||||||||
3등급 | 평가분야별 별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이 별3개(★★★)인 경우 | |||||||||||||||
4등급 | 평가분야별 별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이 별2개(★★)인 경우 | |||||||||||||||
5등급 | 평가분야별 별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이 별1개(★)인 경우 |
참고 3 |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안전기능 평가체계 및 평가 결과 |
□ 배터리관리시스템 안전기능 평가체계
ㅇ (평가항목) 주차 중 배터리 ➊상시 이상감지(1.0점) 및 운행·충전·주차 중 ➋이상발생 시 경고(1.0점), ➌상태 정보 저장(0.2점) 항목 평가
항 목 | 기 능 |
구동축전지 상태 상시감지 (1.0점) |
ㅇ 구동축전지 주차 중 모니터링 기능의 작동시간 간격에 따라 배점 차등적용(1h:0.6점 2h:0.7점 4h:0.8점 6h:0.9점 8h:1.0점) ㅇ 간헐적 모니터링은 시간당 0.01점 인정(wake-up 간격 10분 이하 시) |
ㅇ 구동축전지 이상 발생 시 미작동 중인 BMS 기능을 활성화하는 기능(상시 모니터링 미적용 차종) : 1.0점 | |
구동축전지 이상발생 경고 (1.0점) |
ㅇ 운행·충전·주차 중 구동축전지 이상발생 경고 및 신고(1.0점) |
구동축전지 정보저장 (0.2점) |
ㅇ 주차 중 구동축전지 열폭주 발생 시 구동축전지 온도 및 상태 정보 등 저장(0.1점) 및 백업(0.1점) |
ㅇ (등급산정)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안전기능을 2.2점 만점으로
평가하고,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등급 부여*
* 1등급(★5):80.1~ / 2등급(★4):70.1~80.0 / 3등급(★3):60.1~70.0 /
4등급(★2):50.1~60.0 / 5등급(★1):~50.0
□ `24년 배터리관리시스템 안전기능 평가결과
ㅇ (평가차종) 기아 EV3, 테슬라 모델Y,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 등 3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