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해인사 영산회상도’·‘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 국보 지정

오만가지일 2024. 12. 27. 19:10
반응형
SMALL

2024년 12월 26일, 국가유산청은 여러 중요한 유물들을 국보와 보물로 지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그 중에서 해인사 영산회상도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는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그 외에도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 용주사 감로왕도 등 5건이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국보로 지정된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陜川 海印寺 靈山會上圖)

 

 

국보 지정:

  • 해인사 영산회상도: 1729년에 제작된 불화로, 조선 후기 불화의 색채와 제자들의 얼굴 표현에서 조선 전기 불화의 전통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 제작 책임자 의겸의 뛰어난 기량을 엿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 1744년에 제작된 후불도로, 3폭의 그림이 온전하게 남아 있는 유일한 작품으로, 조선 후기 삼불회도의 전형을 보여줍니다.

 

보물로 지정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보물 지정:

  •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일본에서 환수된 유물로, 고려 나전칠기 제작 방식을 따른 상자입니다.
  •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삼존상: 1701년에 제작된 불상으로, 당시 조각승들의 작품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입니다.
  • 화성 용주사 감로왕도: 1790년에 제작된 불화로, 조선 후기 불교의 구제신앙과 유교의 효사상이 결합된 작품입니다.

이 유물들은 각기 다른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 작품으로, 한국 불교와 미술사에 중요한 자산이 될 것입니다.


태그:

#해인사영산회상도 #국보 #불화 #조선후기 #의겸
#직지사석가여래삼불회도 #국보 #후불도 #삼불회도 #조선후기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보물 #고려나전칠기 #환수유물
#흥천사목조관음보살삼존상 #보물 #불상 #조선후기 #조각승
#화성용주사감로왕도 #보물 #불화 #조선후기 #정조
#국보지정 #보물지정 #문화유산 #불교유물 #한국미술

반응형
LIST